07.1. 산술, 할당,비교 연산자
Arithmetic, Assignment, Comparison Operator
산술 연산자(Arithmetic operator)
산술 연산자는 피연산자를 대상으로 수학적 계산을 수행해 새로운 숫자 값을 만든다. 산술 연산이 불가능한 경우 NaN
을 반환한다. 산술 연산자는 피연산자의 개수에 따라 이항 산술 연산자와 단항 산술 연산자로 구분할 수 있다.
1) 이항 산술 연산자
이항 산술 연산자는 2개의 피연산자를 산술 연산하여 숫자 값을 만든다. 모든 이항 산술 연산자는 피연산자의 값을 변경하는 부수 효과가 없다. 즉, 어떤 산술 연산을 해도 피연산자의 값이 바뀌는 경우는 없고 새로운 값을 만들 뿐이다.
+
덧셈
X
-
뺄셈
X
*
곱셈
X
/
나눗셈
X
%
나머지
X
2) 단항 산술 연산자
단항 산술 연산자는 1개의 피연사자를 산술 연산하여 숫자 값을 만든다.
++
증가
O
--
감소
O
+
어떤 효과도 없다. 음수를 양수로 반전하지도 않는다.
X
-
양수를 음수로, 음수를 양수로 반전한 값을 반환한다.
X
Key Point💡
주의할점은 이항 산술 연산자와는 달리 증가/감소(++/--) 연산자는 피연사자의 값을 변경하는 부수효과가 있다.
즉,
증가/감소
연산을 하면 피연산자의 값을 변경하는 암묵적 할당이 이뤄진다.
증가/감소(++/--)
연산자는 위치에 의미가 있다.
+
단항 연산자는 피연산자에 어떠한 효과도 없다. 음수를 양수로 반전하지도 않는다.
숫자 타입이 아닌, 피연산자에 +
단항 연산자를 사용하면 피연산자를 숫자 타입으로 변환하여 반환한다. 이때, 피연산자를 변경하는 것은 아니고 숫자 타입으로 변환한 값을 생성해서 반환한다.
-
단항 연산자는 피연산자의 부호를 반전한 값을 반환한다. +
단항 연산자와 마찬가지로 숫자 타입이 아닌, 피연산자에 사용하면 피연산자를 숫자 타입으로 변환하여 반환한다. 이때, 피연산자를 변경하는 것이 아닌, 부호를 반전한 값을 생성해 반환한다.
Key Point💡
만약 실무에서 서버로 요청한 데이터를 받을 때, 숫자로 못 넘어오고 문자열로 넘겨주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
연산자와 문자열을 붙여서number
타입으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할당 연산자 (Assignment operator)
할당 연산자는 우항에 있는 피연산자의 평가 결과를 좌항에 있는 변수에 할당한다. 할당 연산자는 좌항의 변수에 값을 할당하므로 변수 값이 변하는 부수 효과가 있다.
=
x = 5
x = 5
O
+=
x += 5
x = x+5
O
-=
x -= 5
x = x - 5
O
*=
x *= 5
x = x * 5
O
/=
x /= 5
x = x / 5
O
&=
x %= 5
x = x % 5
O
표현식
은 값으로 평가될 수 있고, 문
에는 표현식인 문과 표현식이 아닌 문이 있다. 그렇다면 할당문은 표현식이 아닌 문
일까?
할당문은 변수에 값을 할당하는 부수 효과만 있을 뿐 값으로 폋가되지 않을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할당문은 값으로 평가되는 표현식인 문으로서 할당된 값으로 평가된다. 할당문 x=10
은 x에 할당된 숫자 값 10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할당문을 다른 변수에 할당할 수도 있다. 이러한 특징을 활용해 여러변수에 동일한 값을 연쇄 할당할 수 있다.
비교 연산자 (Comparison operator)
비교 연산자는 좌항과 우항의 피연산자를 비교한 다음 그 결과를 불리언 값으로 반환한디. 비교 연산자는 if
문이나 for
문과 같은 제어문의 조건식에서 주로 사용한다.
1) 동등/일치 비교 연산자
동등 비교
연산자와 일치 비교
연산자는 좌항과 우항의 피연산자가 같은 값으로 평가되는지 비교해 불리언 값으로 반환한다. 하지만, 비교하는 엄격성의 정도가 다르다. 동등 비교
연산자는 느슨한 비교를 하지만, 일치 비교
연산자는 엄격한 비교를 한다.
==
동등 비교
x == y
x와 y의 값이 같음
X
===
일치 비교
x === y
x와 y의 값과 타입이 같음
X
!=
부동등 비교
x != y
x와 y의 값이 다름
X
!==
불일치 비교
x !== y
x와 y의 값과 타입이 다름
X
문자열 연결 연산자
에서 언급했듯 개발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암묵적으로 타입이 자동 변환되기도 한다. 이를 암묵적 타입 변환
이라 한다.
동등 비교(==) 연산자는 좌항과 우항의 피연산자를 비교할 때 먼저 암묵적 타입 변환을 통해 타입을 일치시킨 후 같은 값인지 비교한다. 따라서, 동등 비교 연산자는 좌항과 우항의 피연산자가 타입은 다르더라도 암묵적 타입 변환 후 같은 값일 수 있다면 true
를 반환한다.
Key Point💡
동등 비교 연산자는 편리한 경우도 있지만, 결과를 예측하기 어렵고 실수하기가 쉽다. 따라서, 일치 비교(===)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일치 비교(===) 연산자는 좌항과 우항의 피연산자가 타입도 같고 값도 같은 경우에 한하여 true를 반환한다.
일치 비교 연산자에서 주의할 것은
NaN
이다.
따라서, NaN인지 조사하려면 빌트인 함수
isNaN
을 사용한다.
Key Point💡
isNaN()
보다Number.isNaN()
가 좀 더 정확하다.
자바스크립트에는 양의 0과 음의 0이 있다. 이 들을 비교하면 true
가 반환된다.
참고) Object.is 메서드
ES6에서 도입된
Object.is
메서드는 다음과 같이 예측 가능한 정확한 비교 결과를 반환한다. 그 외에는일치 비교(===)
연산자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Key Point💡
Object.is()
는 두 값이 같은 값인지 결정합니다. 다음 중 하나를 만족하면 두 값은 같습니다
둘 다
undefined
둘 다
null
둘 다
true
또는 둘 다false
둘 다 같은 순서로 같은 문자에 같은 길이인 문자열
둘 다 같은 객체 (두 값 모두 메모리에서 같은 객체를 참조하는 것을 의미)
둘 다 숫자이며
둘 다
+0
둘 다
-0
둘 다
NaN
둘 다
0
이나NaN
이 아니고, 같은 값을 지님
2) 대소 관계 비교 연산자
대소 관계 비교 연산자
>
x > y
x가 y보다 크다
X
<
x < y
x가 y보다 작다
X
>=
x >= y
x가 y보다 크거나 같다
X
<=
x <= y
x가 y보다 작거나 같다
X
요약
증가/감소(++/--) 연산자는 피연사자의 값을 변경하는 부수효과가 있다.
할당문은 값으로 평가되는 표현식인 문으로서 할당된 값으로 평가된다.
동등 비교
연산자는 느슨한 비교를 하지만,일치 비교
연산자는 엄격한 비교를 한다.일치 비교(===) 연산자는 좌항과 우항의 피연산자가 타입도 같고 값도 같은 경우에 한하여 true를 반환한다.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