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5. 값의 할당
앞서 식별자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배운 내용을 회고하자면, 변수 선언문이 선두로 끌어 올려진 것을 호이스팅이라 합니다.
값의 할당
변수에 값을 할당(assignment, 대입, 저장)
할 때는 할당 연산자 =
를 사용한다. 할당 연산자는 우변의 값을 좌변의 변수에 할당한다.
변수 선언과 값의 할당을 하나의
문(statement)
로 단축 표현할 수 있다.
변수 선언과 값의 할당을 2개의 문으로 나누어 표현한 코드와 변수 선언과 값의 할당을 하나의 문으로 단축 표현한 코드는 정확히 동일한 동작을 한다. 즉,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변수 선언과 값의 할당을 하나의 문으로 단축 표현해도 변수 선언과 값의 할당을 2개의 문으로 나누어 각각 실행한다.
Key Point💡
변수 선언은 소스코드가 순차적으로 실행된 시점인 런타인 이전에 먼저 실행되지만, 값의 할당은 소스코드가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시점인 런타임에 실행된다.
변수선언(
1
)은 런타임 이전에 먼저 실행되고 값의 할당(2
)은 런타임에 실행된다. 따라서, score 변수에 값을 할당하는 시점(2
)에는 이미 변수 선언이 완료된 상태이며 이미undefined
로 초기화되어 있다. 따라서, score변수에 값을 할당하면, score 변수의 값은undefined
에서 새롭게 할당한 숫자 값80
으로 변경(재할당)이 된다.
4.5.1. 변수 선언
0x00000000
...
...
score →
0x000000F2
undefined
...
0xFFFFFFFFF
4.5.2. 값의 할당
0x00000000
...
...
0x000000F2
undefined
...
score →
0x00001332
80
...
0xFFFFFFFFF
위의 표처럼 변수에 값을 할당할 때는 이전 값
undefined
가 저장되어 있던 메모리 공간을 지우고 그 메모리 공간에 할당 값80
을 새롭게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메모리 공간을확보
하고 그 곳에 할당 값80
을 저장하는 것이다.
이것 처럼 런타임 이전에 가장 먼저
var score;
가 실행되면서 변수들이 선언이 되었으므로,score = 80;
변수선언 코드 이전인 값의 할당 코드가 나와도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
4.6. 값의 재할당
재할당이란, 이미 값이 할당되어 있는 변수에 새로운 값을 또다시 할당하는 것을 말한다.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값의 재할당할 수 있다. 재할당은 현재 변수에 저장된 값을 버리고 새로운 값을 저장하는 것이다.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선언과 동시에 undefined
로 초기화되기 때문에 엄밀히 말하면 변수에 첨으로 값을 할당하는 것도 재할당이다.
재할당은 변수에 저장된 값을 다른 값으로 변경한다. 그래서 변수라고 하는 것이다.
Key Point💡
만약, 값을 재할당할 수 없어서 변수에 저장된 값을 변경할 수 없다면 변수가 아니라 상수(constant)라 한다.
Key Point💡
상수는 한번 정해지면 변하지 않는 값이다. 다시 말해 상수는 단 한번만 할당할 수있는 변수다.
참고) const 키워드
ES6에 도입된
const
키워드를 사용해 서언한 변수는 재항당이 금지 된다. 즉, const 키워드는 단 한번만 할당할 수 있는 변수를 선언한다.따라서,
const
키워드를 사용하면 상수를 표현할 수 있다.
변수에 값을 재할당하면
score
변수의 값은 이전 값80
에 재할당한 값90
으로 변경된다. 처음 값을 할당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이전 값80
이 저장되어 있던 메모리 공간을 지우고 그 메모리 공간에 재할당 값 90을 새롭게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고 그 메모리 공간에 숫자 값 90을 저장한다.
4.6.1. 변수 선언
0x00000000
...
...
score →
0x000000F2
undefined
...
0xFFFFFFFFF
4.6.2. 값의 할당
0x00000000
...
...
0x000000F2
undefined
...
score →
0x00001332
80
...
0xFFFFFFFFF
4.6.3. 값의 재할당
0x00000000
...
...
0x000000F2
undefined
...
0x00001332
80
...
...
score →
0x0669F913
90
...
0xFFFFFFFFF
현재
score
변수의 값은 90이다. score 변수의 이전 값인 undefined와 80은 어떤 변수도 값으로 갖고 있지 않다. 즉, 어떤 식별자와도 연결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더이상undefined
와80
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이렇게 아무도 사용하고 있지 않으니 불필요한 값들은 가비디 콜렉터에 의해 메모리에 자동 해제된다.
단 언제 해제가 될지는 예측할 수 없다.
참고) 가비지 콜렉터
가비지 콜렉터는 애플리케이션이 할당한 메모리 공간을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메모리를 해제하는 기능을 말한다.
더이상 사용되지 않는 메모리란, 간단히 말하자면 어떤 식별자도 참조하지 않는 메모리 공간을 의미한다.
이처럼, 자바스크립트는 가비지 콜렉터를 내장하고 있는 매니지드 언어로서, 메모리 누수를 방지한다.
참고) 언매니지드 언어 vs. 매니지드 언어
C언어가 대표적으로 언매니지 언어로 개발자가 명시적으로 메모리 할당하고 해제하기 위해
malloc()
과free()
같은 저수준 메모리 제어 기능을 제공한다.자바스크립트는 메모리 관리 기능을 언어차원에서 담당하기에 개발자의 직접적인 메모리 제어를 허용하지 않는다.
즉, 개발자가 명시적으로 메모리를 할당하고 해제할 수 는 없다.
더이상 사용하지 않는 메모리의 해제느 ㄴ가비지 콜렉터가 수행한다.
요약
변수에 값을
할당(assignment, 대입, 저장)
할 때는 할당 연산자=
를 사용한다. 할당 연산자는 우변의 값을 좌변의 변수에 할당한다.재할당은 현재 변수에 저장된 값을 버리고 새로운 값을 저장하는 것이다.
var
와let
은 재할당이 가능하다.상수는 한번 정해지면 변하지 않는 값이다. 다시 말해 상수는 단 한번만 할당할 수있는 변수다.
상수의 대표적인 키워드로는
const
이다.아무도 사용하고 있지 않은 메모리 공간에 대해서 가비디 콜렉터에 의해 메모리에 자동 해제된다.
Last updated